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7

7장 필터 / 리스너 / 오류처리 필터 클라이언트에서 서블릿 요청이 될 때 서블릿 수행 전과 후에 필터링 기능을 한다. 서블릿 호출 전 요청을 가로채는 기능 서블릿 호출 전 요청 내용을 점검 기능 요청 헤더의 수정과 조정 기능 서블릿이 호출된 후에 서블릿 응답을 가로채는 기능 응답 헤더의 수정과 조정 기능 대표 기능 로그 기록 / 한글 처리 필터링 동작을 시킬 java 파일을 만들어서 web.xml 에 연결 시키면 작동 : 필터를 만듦. : 필터링을 할 서블릿을 매핑 리스너 이벤트가 발생하면 수행되는 메소드를 가진 자바 객체 오류 처리 서블릿의 오류 처리 방법 실행 코드를 try - catch로 구성 메소드 선언부에 throws 절 선언 : throws 절이 있는 메소드를 사용하는 곳에서 try-catch 처리를 해줘야 함 web.xml.. 2022. 10. 27.
10/26 JSP AWS 클라우드환경 네이티브 수업 108 일차 진행 1. html과 JSP 연결로 이것 저것 함 2. 쿠키 / 세션/ HttpServletRequest 를 html과 JSP 연결로 사용 요약 1. 웹 컨테이너 버퍼의 크기 확인 2. 웹 어플리케이션의 경로 3. FileReader를 통해 비동기적으로 데이터 읽기 웹 컨테이너 버퍼의 크기 확인 페이지 지시자를 통해 buffer의 크기를 정해줄 수 있다. 출력 버퍼의 크기 byte 웹 어플리케이션의 경로 웹 어플리케이션의 URL 경로 : /ch02/PinfoInput.jsp의 파일 경로 : 웹 어플리케이션의 url 경로 = 프로젝트의 경로 (현재 웹 모듈의 경로가 / 로 되어있기 때문에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았다.) FileReader를 통해 비동기적으로 데이.. 2022. 10. 27.
10/25 JSP AWS 클라우드환경 네이티브 수업 107 일차 진행 1. html과 서블릿 연결 2. jsp과 서블릿 연결 3. 스크립틀릿과 표현식 이용 4. page 지시자와 include 지시자 5. JSP의 주석 차이 6. html과 jsp 연결 요약 1. JSP의 주석 차이 2. 스크립틀릿을 이용한 html과 jsp 연결 html과 스크립틀릿 주석 차이 2022. 10. 26.
6장 상태 정보 유지 기술 HTTP 프로토콜의 통신 방식은 클라이트에게 서버가 응답을 보내는 즉시 끊어지기 떄문에 연결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무상태 통신 방식이다. 때문에 전 요청의 처리 결과가 저장이 되지 않는다. 고로 해당 결과를 서버/클라이언트에 저장하는 정보를 상태 정보라고 함 저장 위치에 따른 저장 기술 (1) 클라이언트 - 쿠키 javax.servlet.http.Cookie (2) 서버 javax.servlet.ServletContext javax.servlet.http.HttpSession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유지 기간에 따른 저장 기술 (1) 웹 애플리케이션 단위 javax.servlet.ServletContext (2) 클라이언트 단위 javax.servlet.htt.. 2022. 10. 24.
10/24 JSP의 요소 AWS 클라우드환경 네이티브 수업 106 일차 진행 1. JSP의 요소 (in STS) 요약 1. JSP의 요소 Spring 의 장점 중 하나 : 유지 보수가 좋다. JSP의 요소 (1) scriptlet(스크립틀릿) JSP에서 자바 코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2) Expression(표현식) 자바의 out.print() 와 같은 기능을 한다. (3) 선언문 JSP에서 선언하기 위해 쓴다. (4) 주석문 JSP에서 주석 쓰는 법 (5) 지시자 (5-1) include 지시자 JSP에서 현재 파일에 다른 파일을 포함시키는 지시자 (5-2) page 지시자 (예) 여러가지의 속성이 있다. 종류는 아래와 같다. info 속성 : 페이지를 설명해 주는 문자열 language 속성 : 스크립트 요소에서 사.. 2022. 10. 24.
728x90
반응형